개요

행사개요
- 기간: 2021. 10. 06 (수) ~ 2022. 10. 10 (일)
- 장소: 김대중컨벤션센터
- 주제: 재난과 인권: 새로운 사회계약
- 주최: 광주광역시, 유네스코(UNESCO),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(UN OHCHR), 광주광역시교육청, 한국국제협력단(KOICA)
- 주관: 광주국제교류센터, 세계지방정부연합 사회통합참여민주주의인권위원회(UCLG-CISDP), 스웨덴 라울발렌베리인권연구소(RWI)
프로그램
구분 | 행사프로그램 |
---|---|
공식행사 |
- 개회식 - 라운드테이블 - 폐회식 |
전체회의 |
- 전체회의 1: 더 공정한 미래 구축을 위한 인권원칙: 지역 정책에서부터 집단 행동까지 - 전체회의 2: 신뢰의 재구축: 인권과 평등에 기반한 새로운 사회 계약 - 전체회의 3: 인종주의와 차별에 맞서기 위한 인권도시의 역할 |
주제회의 |
- UN 지속가능발전목표(SDGs)와 인권: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포용적 기후위기대응 - 난민: 2021년 이후 동아시아 지역 난민보호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- 동아시아 3국 난민인정절차의 실제와 국제인권규범과의 간극 확인과 대책 - 노인: 재난상황에서 노인 인권 - 사회적경제: ‘재난 일상화’ 시대 사회적경제의 역할 - 식량권: 재난 시대의 식량권, 그리고 농민 권리 - 어린이청소년: 재난시대, 교육의 전환을 위한 모색 - 장애: 코로나19 팬데믹과 장애인권 |
특별회의 |
- 여성폭력: 모두를 위한 도시권의 실현: 여성폭력에 맞서는 지방정부 - 인도네시아 인권도시 회의: 인도네시아 인권도시: 인도네시아의 종교 및 신념의 자유와 관용을 증진하기위한 전략과 실천으로서의 인권도시 - 인권정책기본법 제정 특별회의: 인권정책기본법: 범정부적 인권정책 추진을 위한 한 걸음 - 해외인권정책회의: 새로운 사회 계약 속 인권, 부패 그리고 신뢰 - 유네스코 마스터 클래스 런칭 패널: 인권도시 광주 시리즈 - 인권과 경제: 위기의 시대에 경제 모델이 인권에 미치는 영향 - 도시권: 아시아 지역의 관점에서의 도시권 탐색: 기후변화와 코로나 19 대응하는 방법 |
네트워크 회의 |
- 유네스코 아태지역 차별반대 도시연합(APCAD)회의: APCAD 진행상황 및 성과 공유 - 한국인권도시협의회의: 인권도시, 어디까지 왔으며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? - 전국광역자치인권위원회 협의회의: 지방자치단체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지역인권위의 역할 - 인권활동가 네트워크 워크숍: 집단 면역 형상 뒤에도 남게 될 차별과 인권 활동가의 역할 논의 - 유네스코 전문가 회의: 아태지역 자별반대도시연합(APCAD) 포용 도시 지표 |
인권교육 회의 |
- 지방자치단체 인권보호관 워크숍: 지자체 인권보호 업무 담당자들 간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상담 및 조사 역량 강화 - 전국 인권교육교사 네트워크 초청연수: 인권교육 실천 사례 공유 및 협력방안 - 인권정책 메뉴얼 워크숍: SDGs 기반의 인권 지역화 - ‘지방정부와 인권’ 인권기반 혼합학습과정 프로젝트 보고회 - ‘지방정부와 인권’ 인권기반 혼합학습과정 수료식 |
부대행사 |
- 인권작품 공모전 전시 - 유네스코와 청년들의 대화 - 청년 토크 - 인권다크투어 - BLC 인권정책투어 - 인도네시아 인권정책투어 |